본문 바로가기
경제 복지

한정승인하면 끝? 절대 아님! 모르면 덤터기 쓰는 ‘상속세금’ 문제 총정리

by 수집정보 2025. 4. 17.

한정승인 세금 문제를 간과하면, '포기보다 더 손해'를 볼 수도 있습니다. 상속인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내용입니다. 한정승인 후 세금 폭탄 맞을 수 있습니다. 상속세, 취득세, 양도소득세, 재산세까지 어떤 세금이 발생하고 누구 책임인지, 그리고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를 실제 사례와 함께 정리했습니다.


“한정승인했는데… 세금까지 내가 내야 한다고요?”

부모님의 빚이 많아 상속을 포기하거나 한정승인을 고민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저도 과거에 고심 끝에 한정승인을 선택했던 경험이 있는데요. 그땐 ‘이걸로 끝났겠지’ 했죠. 그런데 며칠 뒤 날아온 취득세 고지서에 정신이 번쩍 들었습니다.

 

한정승인을 했다고 끝이 아닙니다. 상속 절차는 여기서부터 시작이고, 특히 세금 문제는 예상보다 훨씬 복잡합니다. 오늘은 바로 그 세금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한정승인 후 꼭 챙겨야 할 4가지 세금

① 상속세는 거의 안 나오지만 확인은 필수

한정승인은 말 그대로 ‘상속받은 재산 한도 내에서만 빚을 갚겠다’는 의미입니다. 일반적으로는 상속세가 나오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예외도 존재합니다.

  • 상속재산이 금융채무보다 크면 상속세 부과 가능
  • 예금, 보험금 등으로 인해 실질 상속가액이 늘어날 수 있음

예시: 아버지 명의의 부동산과 보험금이 있었는데, 채무보다 보험금이 많아 상속세가 소액 부과된 사례도 실제로 존재합니다.


② 취득세는 무조건 발생합니다

부동산이 상속재산에 포함되어 있다면, 취득세는 반드시 발생합니다. 한정승인을 하더라도 청산을 위해 일시적으로 내 명의로 소유권을 이전해야 하거든요.

 

여기서 걱정하는 분들이 많은데, 중요한 건 이겁니다.

  • 이 취득세는 상속인의 사비로 낼 필요 없음
  • 보통 경매 채권자(은행 등)가 대신 납부하고 비용 회수

실제 경험: 저도 부친 소유의 아파트가 남아있던 사례에서, 경매에 넘기니 은행이 취득세까지 부담하고 경매비용으로 회수해갔습니다. 실무적으로 굉장히 흔한 방식입니다.


③ 양도소득세, 모르면 ‘날벼락’처럼 느껴질 수 있어요

부동산을 팔 때는 양도소득세가 따라오죠. 상속재산이 청산 과정에서 매각되면, 이 역시 세금 대상입니다. 많은 분들이 “내가 상속 안 받았는데 왜 양도세까지?” 하고 당황합니다.

 

하지만 법적으로 상속재산 청산 행위도 과세 대상입니다.

 

다행히도 이 세금 역시 상속재산 안에서만 납부하면 됩니다. 즉, 내 통장에서 나가지 않는다는 거죠. 국세청이 개인 재산을 압류하면 취소 청구 가능성도 높습니다.

 

팁: 한정승인 전, 해당 부동산의 취득가액과 시세 등을 미리 확인해 두면 예상 세액을 대략 파악할 수 있어요.


④ 재산세, 소득세 등 잡다한 세금도 발생 가능

이건 정말 놓치기 쉬운 부분인데요. 부동산 보유 중에는 재산세, 상가 임대 시엔 종합소득세까지 발생합니다. 청산이 길어질수록 이 세금도 쌓이죠.

 

하지만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이런 세금들도 모두 상속재산으로 처리하면 됩니다. 한정승인을 했다는 이유만으로 여러분 개인이 부담할 일은 거의 없습니다.


결국 핵심은 ‘청산’과 ‘서류 처리’입니다

한정승인은 ‘빚 갚기 싫어서’ 하는 게 아니라, ‘빚을 책임 있게 정리’하려는 절차입니다. 하지만 법적 서류 처리나 청산 절차가 복잡해 실무를 잘 아는 전문가의 도움이 꼭 필요합니다.

 

저는 당시 우왕좌왕하다가 결국 변호사 사무실을 통해 상속재산 파산까지 신청해서 깔끔하게 마무리했습니다. 돈을 아끼려다 더 큰 돈이 나갈 뻔했거든요.


결론: 한정승인 이후 세금, 이렇게만 기억하세요

  • 상속세는 대부분 면제지만, 재산이 있다면 확인 필수
  • 취득세는 경매기관이 부담하는 구조
  • 양도세도 상속재산 내에서만 납부
  • 재산세, 소득세도 걱정할 필요 없음

중요한 건 ‘실수 없이 절차를 밟는 것’입니다. 세금은 피할 수 없어도, 내 돈으로 낼 필요는 없어요. 한정승인을 고려 중이라면, 상속전문 변호사나 법률사무소의 도움을 받는 것도 방법입니다.

 

지금 고민하고 있다면, 혼자 끙끙대지 말고 꼭 전문가와 상의하세요.


자주 묻는 질문 (FAQ)

Q1. 한정승인을 해도 세금을 납부해야 하나요?

A. 네, 상속재산 내에서 발생한 세금은 납부 대상입니다. 하지만 본인 돈으로 내는 것이 아니라, 상속재산 내에서 해결됩니다.

Q2. 취득세를 무조건 내야 하나요?

A. 청산을 위해 명의 이전이 필요할 경우 취득세는 발생합니다. 실무에서는 경매기관(은행 등)이 대신 납부합니다.

Q3. 양도소득세도 상속인의 부담인가요?

A. 아니요. 양도소득세 역시 상속재산 내에서 납부하며, 개인 재산은 건드리지 않습니다. 단, 납부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점은 염두에 두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