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삼성역이 대대적으로 바뀝니다. 승강장 확장, 에스컬레이터 신설, GTX-A 환승역 탄생까지. 역사 개량공사로 달라지는 삼성역의 모든 변화를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이제는 강남의 끝이 아닌 중심, 바뀌는 삼성역
출퇴근 시간마다 꽉 찬 열차, 복잡한 환승, 줄지 않는 인파. 삼성역을 이용해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겪어본 모습일 거예요.
강남의 중심이라고 하기엔 좁은 승강장, 부족한 출입구, 불편한 환승 동선까지….
하지만 이젠 다릅니다. 2025년부터 시작된 삼성역 역사 개량공사는 단순한 리모델링이 아닙니다. 서울 동남권 교통의 판을 바꾸는 핵심 사업으로, GTX부터 MICE산업 중심까지 모두 엮여 있죠.
오늘은 이 변화의 흐름 한가운데 선 삼성역의 현재와 미래를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강남의 무게중심이 바뀐다: 삼성역의 가치 재조명
테헤란로 중심에서 삼성역 중심으로
한때 강남역이 압도적인 중심이었다면, 요즘은 분위기가 다릅니다. COEX, GBC, 영동대로 개발, GTX-A·C선, 위례신사선까지 모두 삼성역으로 몰리면서 교통·비즈니스의 축이 동쪽으로 이동하고 있어요.
삼성역 주변은 단순한 교통 요지가 아닌, 국제교류복합지구의 핵심입니다. 이곳은 서울시가 MICE 산업(회의·전시·이벤트 중심 산업) 거점으로 키우는 지역으로, 향후 글로벌 컨벤션 중심지가 될 거예요.
변화 요소 | 내용 |
---|---|
기존 교통 | 2호선, 9호선 |
예정 교통 | GTX-A·C, 위례신사선 |
핵심 개발 | 영동대로 지하공간, 글로벌비즈니스센터 |
승강장도 새롭게: 삼성역 '섬식+1' 구조로 재탄생
좁은 승강장 문제, 이렇게 해결됩니다
기존 삼성역은 1982년 개통된 섬식승강장으로, 양방향 열차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이용하는 구조였어요.
하지만 혼잡할 땐 승객이 몰려 움직이기조차 힘든 상태였죠. 저도 COEX 전시회 끝나고 삼성역에서 20분 넘게 계단 앞에서 대기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이제는 다릅니다. 서울교통공사는 기존 섬식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내선 방향 전용 승강장을 추가해 ‘섬식+1’ 구조로 바꿉니다. 이렇게 되면 내선(시계방향)과 외선(반시계방향)을 아예 분리해서 운영할 수 있어 승강장 혼잡이 크게 줄어들어요.
에스컬레이터·엘리베이터 확충: 교통약자도 편하게
기존 시설은 너무 불편했어요
지금 삼성역 승강장에는 에스컬레이터가 아예 없습니다. 오직 계단 네 개뿐인데, 그마저도 폭이 좁아서 한꺼번에 쏟아지는 승객을 감당하기 어려웠죠. 엘리베이터는 단 하나, 의료용 스쿠터 한 대 겨우 들어갈 정도였습니다.
이번 개량공사 후에는 엘리베이터가 총 4대로 늘어나고, 에스컬레이터도 방향별 승강장에 설치될 예정이에요.
특히 선릉 방면 신규 승강장에 여유 공간이 확보되면서 에스컬레이터 설치가 가능해졌습니다.
- 기존 엘리베이터: 1대 → 4대 (기존 1, 신규 승강장 2)
- 에스컬레이터: 기존 없음 → 방향별 설치 추진
삼성역 출구 폐쇄? 오히려 기회가 됩니다
5~8번 출구, 공사로 일시 폐쇄
북쪽 출구인 5~8번은 공사 기간 중 임시 폐쇄됩니다.
특히 COEX와 무역센터로 연결되는 5번, 6번 출구는 평소에도 이용객이 많아 불편을 호소하는 목소리가 많았죠. 하지만 이건 장기적으로는 전환점이에요.
향후 GTX, 위례신사선, 버스환승센터 모두 지하에서 연결되기 때문에 굳이 지상 출구로 나올 필요가 없어집니다. 삼성역은 말 그대로 지하도시로 바뀌는 거예요.
GTX 개통이 삼성역에 미치는 영향
서울을 관통하는 진짜 급행열차 등장
GTX-A선은 이미 수서~동탄, 서울역~운정중앙 구간이 개통됐고, 많은 기대를 받고 있어요. 이 노선이 삼성역과 직접 연결되면 서울 동남권의 교통 체계가 완전히 달라지죠.
2027년에는 GTX 승강장이 개통되고, 2028년에는 삼성역이 정식 환승역으로 완성됩니다. 기존 지하철 2호선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웠던 혼잡 문제가 상당 부분 완화될 것으로 기대돼요.
GTX-A + 2호선 + 9호선 + 위례신사선 + 버스환승센터가 하나로 연결되는 ‘슈퍼 환승역’이 삼성역입니다.
결론: 삼성역은 더 이상 변두리가 아니다
예전엔 삼성역이 강남의 가장자리 같았지만, 지금은 오히려 중심입니다. GTX, MICE, COEX, 글로벌비즈니스센터까지 모든 동선이 이곳으로 집중되고 있어요.
삼성역 역사 개량공사는 단순한 구조 변경이 아닌, 서울 교통의 미래를 위한 준비입니다. 혼잡도는 줄이고, 편의는 늘리는 이 변화 속에서, 한 발 먼저 정보를 알고 있는 게 가장 큰 이득이겠죠.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삼성역 공사는 언제까지 진행되나요?
A. 현재 공사는 2025년 4월부터 시작되었으며, 단계적으로 진행 중입니다. 승강장 개통은 2027년, 완전한 GTX 환승까지는 2028년 예정입니다.
Q2. GTX 삼성역은 별도 역인가요?
A. GTX 삼성역은 별도의 승강장이지만, 2호선 삼성역을 통해 지하 환승통로로 연결되므로 동일 역세권으로 분류됩니다.
Q3. 삼성역 출구 폐쇄 시 대체 출구는 어디인가요?
A. 5~8번 출구는 임시 폐쇄되며, 남쪽 출구나 임시 개통되는 환승 통로 등을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브랜드 따라 집값이 달라진다고요? 아파트 브랜드 가치, 진짜 중요한 이유
아파트 브랜드, 정말 집값에 영향을 줄까요? 브랜드가 주는 이미지와 시세 영향, 프리미엄 브랜드의 전략까지. 실제 사례와 수치로 보는 아파트 브랜드의 중요성!아파트 살 때 브랜드, 얼마나 중
news.hometax.welfareforyou.com
서울 신축 청약, 13억 넘는 은평·고척 아파트 정말 살만할까?
2025년 서울 분양시장에 등장한 희소한 두 단지, 은평구 '힐스테이트 메디알레'와 구로구 '고척 푸르지오 힐스테이트'. 분양가, 입지, 교통, 미분양 현황까지 분석해드립니다.서울 신축, 희소하지
news.hometax.welfareforyou.com
롯데손해보험 콜옵션 연기 사태, 투자자에겐 무슨 의미일까?
롯데손해보험이 콜옵션 행사 연기를 발표하면서 금융시장과 개인 투자자들 사이에 긴장감이 퍼지고 있습니다. 콜옵션, 후순위채, K-ICS 비율의 의미와 보험사 전반에 미칠 파장을 상세히 분석합
news.hometax.welfareforyou.com
'경제 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과 중국, 관세 115% 낮춘 이유? 90일간의 진짜 속사정 (0) | 2025.05.15 |
---|---|
서울 주담대 연체율, 또 역대 최고… 내 대출은 안전할까? (0) | 2025.05.15 |
미분양 아파트, 지금은 10억 웃돈? 이 아파트 이름 들어봤나요? (0) | 2025.05.13 |
서울 신축 청약, 13억 넘는 은평·고척 아파트 정말 살만할까? (0) | 2025.05.13 |
브랜드 따라 집값이 달라진다고요? 아파트 브랜드 가치, 진짜 중요한 이유 (0) | 2025.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