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복지

저축은행 업계 지각변동: 교보생명·OK금융의 M&A 전쟁

by 수집정보 2025. 5. 8.

교보생명의 SBI저축은행 인수와 OK금융의 상상인저축은행 인수 추진으로 저축은행 업계에 대규모 재편이 예고되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의 규제 완화와 부동산 PF 부실 문제로 촉발된 이번 M&A 전쟁의 배경과 향후 전망을 자세히 살펴봅니다.

저축은행

저축은행, 지금이 변곡점이다

최근 저축은행 업계에 큰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교보생명이 업계 1위인 SBI저축은행을 인수하고, OK금융이 상상인저축은행 인수를 추진하면서 시장의 판도가 뒤바뀌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한 기업 간의 거래를 넘어, 금융 시장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사건입니다.


교보생명, SBI저축은행 인수로 금융지주 전환 가속화

교보생명은 2026년 10월까지 SBI저축은행의 지분 50%+1주를 약 9천억 원에 인수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번 인수를 통해 교보생명은 금융지주사로의 전환을 본격화하며, 보험과 저축은행의 시너지를 극대화할 계획입니다.

 

특히, 교보생명 앱(230만 명)과 SBI저축은행의 사이다뱅크 앱(140만 명)을 통합해 370만 명의 고객 기반을 확보하게 됩니다.


OK금융, 상상인저축은행 인수로 업계 1위 도전

OK금융은 상상인저축은행 인수를 추진 중입니다. 인수가 성사되면 OK저축은행의 자산 규모는 약 16조 원에 달해 현재 업계 1위인 SBI저축은행을 넘어설 수 있습니다.

 

다만, 상상인저축은행은 매각가로 2천억 원을 원하고 있는 반면, OK금융은 1천억 원 이하를 제시하면서 협상이 지연되고 있습니다.


금융당국, 저축은행 M&A 규제 완화로 구조조정 촉진

금융당국은 저축은행 업계의 구조조정을 촉진하기 위해 M&A 규제를 2년간 한시적으로 완화했습니다.

 

기존에는 적기시정조치를 받은 저축은행만 M&A 대상이었으나, 이제는 최근 2년 이내 자산건전성 4등급 이하이면서 BIS 비율이 11% 이하인 저축은행도 포함됩니다. 이를 통해 최대 20개 저축은행이 매물로 나올 수 있습니다.


부동산 PF 부실, 저축은행 업계 위기의 원인

저축은행 업계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로 인해 큰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2023년과 2024년에 각각 5,758억 원과 3,974억 원의 순손실을 기록했으며, 연체율은 8.52%로 9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소형 저축은행들은 대형 금융사에 인수되어 부실을 해소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결론: 저축은행 M&A,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저축은행 업계의 M&A는 단순한 기업 간의 거래를 넘어, 금융 시장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사건입니다.

 

교보생명과 OK금융의 움직임은 업계 재편의 신호탄이 될 수 있으며, 금융당국의 규제 완화는 이러한 변화를 가속화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무분별한 인수합병은 또 다른 부실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

Q1. 교보생명이 SBI저축은행을 인수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1. 교보생명은 금융지주사로의 전환을 추진 중이며, SBI저축은행 인수를 통해 보험과 저축은행의 시너지를 극대화하고자 합니다.

Q2. OK금융이 상상인저축은행을 인수하면 어떤 변화가 있나요?

A2. OK금융이 상상인저축은행을 인수하면 자산 규모가 약 16조 원에 달해 업계 1위로 올라설 수 있습니다.

Q3. 금융당국의 M&A 규제 완화는 어떤 내용을 포함하나요?

A3. 금융당국은 최근 2년 이내 자산건전성 4등급 이하이면서 BIS 비율이 11% 이하인 저축은행도 M&A 대상으로 포함하는 등 규제를 완화했습니다.

 

개인 채권 투자, 어떻게 시작할까? 직접 투자 vs 간접 투자, ETF, 수익률 비교까지

개인 투자자도 충분히 할 수 있는 채권 투자, 어떻게 시작하면 좋을까요? 막상 시작하려고 하면 ‘직접 사야 할지, 펀드가 나을지’, ‘국채와 회사채는 뭐가 다른지’부터 헷갈리기 마련입니다

news.hometax.welfareforyou.com

 

 

연체율이 20년 만에 최고? 지금 '카드대란'이 다시 오고 있습니다

최근 신용카드 연체율이 2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금융시장에 경고등이 켜졌습니다. 카드론, 리볼빙 급증까지 겹친 지금, 2004년 카드대란이 떠오르는 이유와 우리가 대비해야 할 현실을

news.hometax.welfareforyou.com

 

 

워런 버핏 포트폴리오 비밀: 지금 현금을 들고 기다리는 이유는?

주식 시장이 흔들리는 요즘, 워런 버핏은 왜 여전히 애플에 집중하고 있을까? 그의 포트폴리오와 투자 철학을 통해 하락장에서 살아남는 전략을 배워보자.위기에서 더 빛난 워런 버핏의 투자 전

news.hometax.welfareforyou.com